먼지와 미세먼지의 차이
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을 말하는데, 석탄 ·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나 공장 ·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50μm 이하인 총먼지(TSP)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로 구분하는데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이 10μm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μm보다 작은 초미세먼지(PM2.5)로 나뉩니다.
PM10이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μm)보다 약 1/5~1/7 정도로 작은 크기라면, PM2.5는 머리카락의 약 1/20~1/30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습니다.

미세먼지 크기 비교 ※ 1μm = 1/1000mm
이처럼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감으로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PM10, PM2.5)에 대한 대기질 가이드라인을 1987년부터 제시해 왔고, 2013년에는 세계보건기구 산하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미세먼지를 사람에게 발암이 확인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하였습니다.
미세먼지의 성분
미세먼지를 이루는 성분은 그 미세먼지가 발생한 지역이나 계절, 기상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대기오염물질이 공기 중에서 반응하여 형성된 덩어리(황산염, 질산염 등)와 석탄 · 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류와 검댕, 지표면 흙먼지 등에서 생기는 광물 등으로 구성됩니다.

전국 6개 주요 지역에서 측정된 미세먼지의 구성 비율은 대기오염물질 덩어리(황산염, 질산염 등)가 58.3%로 가장 높고, 탄소류와 검댕 16.8%, 광물 6.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국내 미세먼지 발생분이 적은 백령도에서는 탄소류와 검댕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이 밖에 가정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스레인지, 전기 그릴, 오븐 등 조리 시에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그것입니다. 음식 표면에서 15~40nm 크기의 초기 입자가 생성되고 재료 중의 수분, 기름 등과 응결하여 그 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리법에 따라 발생 정도가 다른데 삶을 때보다는 굽거나 튀길 때 더 많이 발생합니다. 이때는 평소보다 2배에서 60배 많은 양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황사와 먼지의 차이점은?
미세먼지는 아주 작은 크기의 모든 오염 물질을 말하며, 그중 중국이나 몽골의 사막 지역에서 발생한 흙먼지를 황사라고 합니다.
미세먼지 |
아주 작은 크기의 입자상 오염 물질로 이 가운데 초미세먼지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2013년 세계보건기구(WTO)는 초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였습니다. |
||||
황사 |
주로 봄에 중국 북부나 몽골 사막 지역, 황토고원 등에서 발생합니다. 주요 성분은 칼슘이나 규소 등 토양성분이며,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 입자의 크기는 약 5~8 μm입니다. |

미세먼지 측정 방법
방사선 또는 빛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베타선 흡수법, 광산란법 등)과
미세먼지의 질량을 저울로 직접(수동) 측정하는 방법(중량농도법)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는 공기 1m3 중 미세먼지의 무게(백만 분의 1g을 의미하는 μg)를 나타내는 μg/m3 단위로 표시합니다.
미세먼지 환경기준

미세먼지(PM2.5) 환경기준을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과 같은 수준으로 강화합니다.

미세먼지 '나쁨'예보의 경우 기존 51~100㎍/㎥에서 36~75㎍/㎥으로 기준이 달라집니다.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안은 2018년 4월 2일까지 입법예고를 하고,
규제심사 등을 거쳐 2018년 7월 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TO)는 국가별 상황에 맞춰 환경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3단계의 잠정 목표와 권고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잠정 목표 3에 해당되는 초미세먼지(PM2.5) 환경기준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과 같은 수준이며 중국보다는 강화된 수준입니다.

우리나라 기준과 WHO 기준이 다른 이유 / WHO 기준에 '좋음', '나쁨' 구분?
환경기준은 국가별 여건에 맞게 설정하는 정책목표치이며, WHO에서는 3단계 잠정목표와 권고기준만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는 3단계 잠정목표만을 제시하고 있는 겁니다.
아울러 WHO 기준에는 '좋음', '나쁨' 등의 구분은 없으며, 권고기준 및 잠정목표만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통상 '좋음', '나쁨' 등의 구분은 예보(예측,발표) 기준으로서 환경기준과는 무관합니다.
미세먼지 예보등급은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 의 4단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농도 주요 국가와 비교
해외 주요 국가와 비교할 때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농도는 2배 정도 높은 수준입니다.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오염의 진행 방향
미세먼지 농도는 서울을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개선되는 추세입니다.

미세먼지의 위험성
미세먼지는 호흡기질환, 심혈관질환이나 천식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PM10)는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5크기에 불과하여 코나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몸속에 스며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폐까지 침투한 미세먼지는 천식과 폐질환의 원인이 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면역세포의 작용으로 염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초미세먼지(PM2.5)는 미세먼지보다 더 넓은 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보다 많은 유해물질들이 흡착될 수 있고, 크기가 작아 혈관으로 침투해 다른 인체기관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높아 미세먼지보다 더 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기청정기 미세먼지에 효과가 있을까?
시설 특성 및 이용인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적정 용량(사용 공간의 130%) 사용시 30%~70%의 저감효율이 있으며, 2차 오염 방지를 위해서는 필터 세척 및 교체 등 관리가 중요합니다.

'알아두면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태료, 범칙금, 벌금의 차이점/조회방법/미납시 처벌/납부방법 (1) | 2019.07.05 |
---|---|
공기청정기의 종류 및 특징(원리) / 종류별 장단점 / 공기청정기 고르는 법 (0) | 2019.06.26 |
깐마늘 다지기 / 위생백을 이용한 다진마늘 냉동보관방법 (0) | 2019.06.21 |
불법 주정차 단속 방법 및 기준, 과태료, 단속시간, 이의신청, 주정차 단속 사전알림서비스(이동식&고정식CCTV) (0) | 2019.06.20 |
주정차 노면표시 제대로 알고 주정차단속에서 자유로워지기(흰색실선, 황색점선.황색실선,이중황색실선) (0) | 2019.06.20 |